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환경변수
- 이더리움
- immer
- 솔리디티
-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 벨로포터
- 깃허브
- 블록체인
- centos
- 전역설치
- 일반유저
- 쉘스크립트
- 노드
- 자바스크립트
- npm
- 머클트리
- 우분투
- MariaDB
- 시퀄라이즈
- 설치
- 라우터
- wget
- 머클루트
- Sequelize
- 리눅스
- Docker
- 변수
- 리액트
- wsl
- node.js 교과서 따라하기
- Today
- Total
코드코코
[블록체인] 분산원장과 블록체인 본문
속성 | 블록체인 |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 |
연산 | Insert | Create, Read, Update, Delete |
복제 | 모든 사용자들의 블럭 전체가 응답 | master-slave multi-master |
합의 | 다수의 사용자가 트랜잭션 결과에 동의 | 분산된 트랜잭션 (2 phase commit) |
불변 | 누구나 네트워크 상의 트랜잭션를 검증할 수 있다 | 무결성 제약조건 |
Transaction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로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복구 및 병행 시행 시 처리되는 작업의 논리적 단위이다. 하나의 트랜잭션은 commit 되거나 rollback 된다. 트랜잭션은 일반적으로 회복의 단위가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Transaction - 트랜잭션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2016. 1. 3., 이강원, 손호웅)
Commit
커밋, 완료
데이터베이스 처리 중에 만들어진 영구적인 변경 내용을 말한다
Rollback
복귀
한 트랜젝션 동안 수행된 데이터베이스 변경을 취소하는 것.
2 phase commit
분산된 DB 등을 모순 없이 동시에 갱신하기 위한 방식이며 2 phase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phase에서 트랜 잭션을 구성하고 있는 각 프로세서에 대하여 일단 실현 가능한가 어떤가를 조회하여 모든 프로세서가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한다. 다음 phase에서 실제로 갱신 프로세서를 의뢰하여 모든 갱신이 끝난 시점에 일련의 프로세서가 완료(commit)된 것으로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2 phase commit (컴퓨터인터넷IT용어대사전, 2011. 1. 20., 전산용어사전편찬위원회)
무결성 (Integrity)이란?
무결성이란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을 나타냅니다.
데이터에 결함이 없는 상태, 즉 데이터를 정확하고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결성 제약조건 (Integrity Constraint)
무결성 제약조건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정확성,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장, 삭제, 수정 등을 제약하기 위한 조건을 뜻합니다.
주요 목적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MySQL Replication(복제)란?
리플리케이션(Replication)은 복제를 뜻하며 2대 이상의 DBMS를 나눠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며, 사용하기 위한 최소 구성은 Master / Slave 구성을 하여야 됩니다.
Master DBMS 역할 :
웹서버로 부터 데이터 등록/수정/삭제 요청시 바이너리로그(Binarylog)를 생성하여 Slave 서버로 전달하게 됩니다
(웹서버로 부터 요청한 데이터 등록/수정/삭제 기능을 하는 DBMS로 많이 사용됩니다)
Slave DBMS 역할 :
Master DBMS로 부터 전달받은 바이너리로그(Binarylog)를 데이터로 반영하게 됩니다
(웹서버로 부터 요청을 통해 데이터를 불러오는 DBMS로 많이 사용됩니다)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술
거래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P2P(Peer-to-Peer)네트워크에 분산하여 참가자가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술을 의미
- P2P(Peer-to-Peer)네트워크 : 클라이언트나 서버의 개념 없이 동등한 참가자(peer nodes)들이 클라이언트와 서버 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데이터나 주변 장치 등을 공유하는 방식
'블록체인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리디티] 인터페이스 개념정리 (0) | 2022.02.14 |
---|---|
[블록체인] 머클트리(merkle tree), 머클루트(merkrl root) 실습 (0) | 2021.12.26 |
[네트워크] [블록체인]HTTP 통신과 Socket 통신의 차이점(사전개념) (0) | 2021.12.25 |